반응형
참고서적 :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%의 네트워크 원리
액세스회선
- 인터넷과 가정이나 회사의 LAN을 연결하는 통신 회선을 말한다. 통신 회선의 사용법 중 하나이다.
- 일반 가정이라면 ADSL, FTTH, CATV, 전화회선, ISDN등을 액세스 회선으로 사용한다.
ADSL
-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,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
- DSL의 한 형식으로, 구리 전화선을 통해 전통적인 보이스밴드 모뎀보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전송하도록 도와 주는 데이터 통신 기술이다. 전화선을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을 하는 방법.
- SDSL과의 차이를 보면, SDSL은 데이터 업로드 속도와 다운로드 속도가 똑같은 데 반해 (대칭형), ADSL은 언제나 업로드 속도가 다운로드 속도보다 느리다.
프로바이더
-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(Internet service provider; ISP)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체를 가리키는 말이다. 그 주체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기업인 경우가 대다수이나 비영리 공동체가 주체인 경우도 있다.
- ISP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것에 대한 접근권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액세스 포인트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.
ADSL의 변조방식
- 진폭 변조(ASK) : 진폭(신호의 세기)에 0과 1을 대응 시키는 방법
- 위상 변조(QAM) : 신호의 위상에 0과 1일 대응 시키는 방법
- 직교 진폭 변조 : 위 두가지를 결합한 것으로, 진폭과 위상에 각각 1비트를 대응 시키고, 한개의 파에 2비트 분의 데이터를 대응 시킨다.
ADSL 고속화
- 위의 변조방식들로는 고속화를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. 한가지 주파수만을 사용하기 떄문이다.
- 주파수는 혼합이 가능하다. 주파수가 서로다른 파를 혼합하여, 특정 주파수의 파만을 통과시키는 필터회로를 이용하여 파를 분해 할 수 있으며, ADSL은 이 성질을 사용하여 다수의 파에 비트값을 대응시켜 고속화를 꾀한다.
- 수백개의 파를 사용하여 각각의 파에
직교진폭변조
에 의해 비트값을 대응 키는데, 잡음이 없는 주파수에는 다수의 비트를, 잡음이 있는 주파수에는 소수르 비트만 대응 시킨다. 그리고 각 파에 대응시킨 비트수를 합한 값에 의해 전송 속도가 결정된다.
업로드/다운로드 속도 차이의 이유
- 업로드는 26개의 파를 이용하지만, 다운로드에는 95개나 223개라는 많은 수의 파를 이용한다. 파의 수에 따라 고속화가 되기 때문에 다운로드가 빠른 것이다.
스플리터
- 전화회선에서 신호가 흘러들어온 경우 동작하며, 전화와 ADSL의 신호를 나누는 역할을 한다.
- 스플리터의 역할
- 전화기에서는 ADSL신호가 잡음이 되서 전화음성을 듣는데 방해요소가 된다. 그래서 신호를 분리하여 전화기에 ADSL 신호가 흐르지 않도록 차단한다.
- ADSL의 높은 주파수의 신호만 차단하는 것이다.
- 전화기측이 ADSL에 끼치는 영향을 방지한다.
- ADSL로 통신중에 수화기를 들면 신호를 전달하는 쪽이 변해서 통신이 수십초정도 중단되는데 스플리터는 이를 방지한다.
- 전화기에서는 ADSL신호가 잡음이 되서 전화음성을 듣는데 방해요소가 된다. 그래서 신호를 분리하여 전화기에 ADSL 신호가 흐르지 않도록 차단한다.
FTTH
- 액세스 회선 종류 중 하나로 광섬유를 사용한다. 밝으면 1, 어두우면 0
Fiber to the home
(FTTH) 집안에까지 광라인이 들어가는 경우, 현재 한국에는 선두 업체인 KT와 후발 업체인 SK브로드밴드, LG유플러스의 EPON 서비스가 일반가정까지 광라인이 들어가서 기가 인터넷 서비스가 되고 있다.
BAS
- Broadband Access Server 라우터의 일종. 일반 라우터와 기본적인 내용을 같지만, 광대역 원격 액세스 장치와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능을 한다.
본인 확인
과설정값 통지
역할을 한다. 이 역할을 실현하기 위해PPPoE
라는 구조를 사용한다.
PPP
- 점대점 프로토콜(Point-to-Point Protocol)는 두 통신 노드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이다. 다이얼 업 접속이다.
- 사용자명, 패스워드를 이용해서 서로 확인하고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.
- ADSL이나 FTTH는 사용자와 BAS 케이블을 고정적으로 접속하므로 본인인지 확인할 필요가 없어서 PPP를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, PPP를 남겨두면 사용자명에 따라 프로바이더를 전환할 수 있어 편리하다. 이것이 ADSL이나 FTTH에 PPP를 사용하는 이유이다.
- PPP는 HDLC 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한다.
PPPoE
반응형
'C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 Network]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동작 차이 주요 용어 정리 (0) | 2021.06.22 |
---|---|
[CS Network] 방화벽 DNS 캐시 프록시 등 용어 정리 (0) | 2021.06.22 |
[CS Network] LAN 라우터 이더넷 등 주요 용어 정리 (0) | 2021.06.22 |
[CS Network] TCP/IP 클라이언트-서버 통신 주요 용어 정리 (0) | 2021.06.22 |
[CS Network] 웹 브라우저와 메시지 주요 용어 정리 (0) | 2021.06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