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소수 판별법의 일종으로, 2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나열하고 2의 배수, 3의 배수, N//2 의 배수를 찾아가며 지워간다. 이후 남는 숫자가 2~N사이의 소수이다.
APS에 심심치 않게 볼수 있는 소수를 찾는 방법 중하나이다. 중~하 문제에서 많이 나오기때문에 꼭 숙지하는 것이 좋다.소수는 약수가 1과 자기자신만 가지고 있는 숫자를 말한다. 소수를 찾는 방법은 직접 약수를 찾아가면서 소수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. 하지만 숫자에 범위에 따라 상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실행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이 방법도 알아두는 것이 좋다.
개요
- 2부터 소수를 구하고자 하는 구간의 모든 수를 나열한다. 그림에서 회색 사각형으로 두른 수들이 여기에 해당한다.
- 2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2를 쓴다. (빨간색)
- 자기 자신을 제외한 2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.
- 남아있는 수 가운데 3은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3을 쓴다. (초록색)
- 자기 자신을 제외한 3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.
- 남아있는 수 가운데 5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5를 쓴다. (파란색)
- 자기 자신을 제외한 5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.
- 남아있는 수 가운데 7은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7을 쓴다. (노란색)
- 자기 자신을 제외한 7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.
- 위의 과정을 반복하면 구하는 구간의 모든 소수가 남는다.
설명
약수가 1과 자기 자신뿐이라는 것은 어떤수의 배수로 표현되면 안된다는 것이다.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이 점을 이용하여 초기에는 모두 소수라고 가정하고, 어떤 수의 배수로 표현되면 소수가 아니라고 체크한다.
구현
def prime_list(n):
#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초기화: n개 요소에 True 설정(소수로 간주)
sieve = [True] * n
# n의 최대 약수가 sqrt(n) 이하이므로 i=sqrt(n)까지 검사
m = int(n ** 0.5)
for i in range(2, m + 1):
if sieve[i] == True: # i가 소수인 경우
for j in range(i+i, n, i): # i이후 i의 배수들을 False 판정
sieve[j] = False
# 소수 목록 산출
return [i for i in range(2, n) if sieve[i] == True]
반응형
'Algorithm > Ma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rime Number] 유클리드 호제법 (소수 찾기) (0) | 2021.06.22 |
---|